서브상단 글자

원고작성요령

HOME     논문투고     원고작성요령

컨텐츠 내용입니다.
개요
원고작성양식 다운로드
  • 본 학술지는 무용과 관련된 주제를 이론적·실증적으로 다룬 국내외 연구논문을 게재한다.

  • 본 학술지에 게재하는 논문은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연구윤리를 준수한 것이어야 한다.

  • 제출되는 원고는 본 학술지의 ‘원고작성요령’을 따른 것이어야 하며, 이를 따르지 않으면 접수를 거부할 수 있다. 제출자는 원고의 문법, 문장, 형식, 참고문헌, 영문 등을 충분히 검토한 후 제출하도록 한다. 제출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

  • 연구논문의 원고는 표지로부터 각주, 표, 그림 등을 포함하여 최대 25매 내외로 지켜서 제출해야 한다. 영문초록은 게재확정된 논문에 한하여 학회에서 원어민 감수를 진행한다. 서평은 편집국이 의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원고는 A4 5매 이내로 작성한다. 기록 자료 및 연구 동향 보고는 편집국과 상의 후 제출한다. 논문 게재료의 산정은 학술지 최종 인쇄본의 면수에 준하여 책정된다.

  • 본 학술지는 매년 4회(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1일) 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접수 마감일은 1월 31일(3월호), 4월 30일(6월호), 7월 31일(9월호), 10월 31일(12월호)로 한다. 접수는 상시 가능하나, 특정 호에 게재를 원할 시에는 발간호의 접수 마감일까지 투고하여야 한다. 


1. 논문의 순서 [개정 2019.12.12.]

논문은 표제, 국문초록, 영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저자소개의 순서로 배열 구성한다.


2. 논문의 표제 [개정 2019.12.12.]

1) 표제 부분(원고 첫 페이지)에는 논문 제목과 목차, 성명, 소속, 직위, 이메일을 기재한다.
2) 제목과 부제는 제목 바로 뒤에 콜론기호(:)를 넣고 부제를 한 줄 아래에 기재한다. 논문의 제목은 논문 내용 전반을 함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최소한의 단어로 표현해야 한다.
3) 연구자의 소속 및 직위는 이름 아래에 괄호를 치고 명기한다.
4) 첫 번째 각주를 통해 연구자의 이메일을 명기한다. 교신저자와 공동저자의 경우 주저자 아래에 차례로 이름과 이메일을 명기한다.
5) 연구비 수혜 출처를 명기하거나 학위논문의 축약 혹은 학술대회 발표 후 수정 게재, 그리고 기관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번호 등 부기할 글이 있을 때는 제목 바로 뒤에 “+”로 표시하고 각주에서 명기한다. 연구비 지원을 받았을 때는 연구지원 번호를 함께 명기한다. 학술대회 발표를 축약 게재할 때 학술대회명(년도), 일시, 장소, 주최기관은 쓰고, 발표 제목은 저자 재량에 따라 명기한다.

<표제의 예시>

무용역사기록의 현황과 전망:
한국무용역사기록의 발달과정+,++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Dance History and Documentation: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Dance History and Documentation


조무한(Jo Muhan)*
*한국역사기록대학교 무용학과 조교수
 (Assistasnt Professor, Korea History and Documentation University)

Jo Muhan muhan@dance.net
 

+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NRF-2021ABC00000).
++ 이 연구는 0000년 0월 00대학교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를 통해 심의를 마침(승인번호 2021 – 0000).

6) 공동저자의 구분

(1) 공동저자일 경우에는 주저자, 공동저자, 교신저자의 순서로 표기한다.
(2) 주저자는 성명 오른쪽 상단에 *를, 공동저자는 **, 그리고 교신저자는 ***으로 표시한다.


3. 논문의 초록 [개정 2021.12.18.]

1) 표제 다음 첫 장은 논문의 핵심 내용을 요약한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을 넣는다. 국문논문의 경우 국문초록은 투고시에 저자가 작성하고, 영문초록은 게재확정된 논문에 한하여 학회에서 원어민 감수를 진행한다.
2) 영문으로 투고할 경우 국문초록이 포함되어야 한다.
3) 영문초록의 논문 제목에서 전치사를 제외한 모든 단어의 첫머리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영문 이름은 저자의 별도 표기가 없으면 국립국어원 로마자 표기를 따른다. 저자의 영문 이름은 성 이름 순서로 표기한다.
<예> Jo, Muhan
영문초록의 본문에서 한국인 이름을 표기해야 할 때 성 이름 순서로 표기한다.
4) 연구자의 소속과 직위는 이름 아래 괄호를 치고 표기한다.
5) 국문초록은 500자 이내, 영문초록은 150-200단어로 작성한다.
6) 논문이 추구하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여 소개한다.


4. 논문의 핵심어(Keywords)

국문 및 영문 초록 아래에 논문의 내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핵심 개념을 5개 내외로 제시하고, 이를 한글에서는 <주요어>로, 영문에서는 로 제시한다. ‘Keywords’에서 고유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일반명사는 모든 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한다.


5. 영어의 표기 [개정 2021.6.28.]

1) 영문초록과 영어의 핵심어(Keywords)에서 한글을 원어로 하는 단어의 로마자표기는 국립국어원의 표기법을 따른다.
<예> 조선: Joseon, 부산: Busan
2) 한국어 논문의 본문에서 영어의 책명과 작품명은 겹낫표 안에 영어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번역을 제시한다.
<예> 『The Body, Dance, and Cultural Theory 』 (몸, 춤, 그리고 문화이론)
3) 영어의 키워드에 외국어 단어가 들어갈 때, 고유명사는 대문자 정체로, 일반명사는 소문자 기울임체로 표기한 다음 괄호 안에 번역을 제시한다.
<예> jeongjae (court dance)
Le Petit Prince (The Little Prince)
4) 영어 논문은 반드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의 교정을 받은 후 제출한다.
5) 영어 논문의 본문에서 한국인 이름을 표기할 때 성 이름 순서로 표기한다.
<예> Jo Muhan
6) 영문 이름을 표기할 때 반드시 한국어로 병기한다.
<예> 존 마틴(John Martin) 


6. 본문의 작성 [개정 2021.6.28.]

연구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연구절차가 제시되어야 하며, 연구방법과 절차의 타당성에 대하여는 전문적인 관점의 평가가 필요하다. 결론에서 얻어질 사실의 의미를 해석하고, 그러한 결론이 나오는 객관적인 이론과 선행연구에 준거하여 설명한다. 연구진행과정의 문제점과 제한점 등도 다룰 수 있다.
1) 조사와 실험 및 통계 관련 연구일 경우, 이론적 배경(혹은 관련 연구)은 간결하게 분석 요약하여 서론 부분에 포함시킨다.
2) 조사와 실험 및 통계 관련 연구일 경우, 결과는 결과(분석) 및 논의로, 결론은 결론 및 제언 등으로 쓸 수 있다.
3) 본문에서는 가급적 한자 혹은 외래어 표기를 피하고, 부득이하게 원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첫 번에 한하여 괄호 안에 넣어 함께 쓰거나 우리말 의미를 덧붙이도록 한다. 괄호와 앞의 단어 사이는 빈 칸을 두지 않고 붙여 쓴다. 인용 자료의 개념어(槪念語), 인명(人名), 지명(地名), 책명(冊名) 등과 같은 고유명사의 한문이나 외래어는 괄호 안에 넣는다. 단 인명의 경우 출생년과 사망년을 함께 표시한다.

<예> 기보(記譜)는 ……
<예>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은 ……
<예> 『악학궤범(樂學軌範)』과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예> 박연(朴堧, 1378-1458년)과 성현(成俔, 1439-1504년)에 의하면……

5) 앞에서 이미 언급된 용어가 반복될 때는 한글만 사용한다.

<예> 『악학궤범』과 『삼국사기』, 박연과 성현, 그리고 여기에 수록된……

6) 고유명사, 학술용어, 단일한 의미를 가지는 복합어는 붙여 쓴다.

<예> 한국기록대학교의 전통기록센터 및 마천대학교의 기남정보관……

7) 단위명사는 띄어 쓴다.

<예> 책 한 권, 버선 세 켤레

8) 저자표기

(1) 논문의 본문 중에 이름을 표기할 경우 존칭을 일체 생략한다.
(2) 외국 저자의 경우에 이름은 국문을 표기하고 원어 혹은 영문명을 괄호 안에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처음 인용에는 성과 이름 전부 표기한다. 반복 인용시에는 한국인은 성과 이름 전부를, 외국인은 성(family name)만 표기할 수 있다.
(3) 단체(기관)일 경우 처음 인용에는 단체(기관)명을 모두 쓰고 그 이후부터는 약어로 표기할 수 있다.
(4) 저자가 3인 이상 5인까지인 경우 첫 인용에는 한국인은 성과 이름 전부, 외국인인 경우는 성(family name)을 모두 표기한다. 같은 문헌이 반복 인용될 때, 한국인은 첫 저자의 이름 전부를 쓰고 한 칸 띄운 뒤 “외”를, 외국인은 첫 저자의 성을 표기하고 쉼표를 찍고 “et al.”을 표기한다.
<예> 한종리 외, Alexandra et al.
(5) 둘 이상의 논문이 같은 성을 가진 저자일 경우 혼란을 막기 위해 한국인은 이름의 전부를 써주고, 외국인은 이름의 첫 글자(initial)와 성을 써준다. 두 번째부터는 영문 병기하지 않는다.
<예> 알렉산드라(J. Alexandra)
(6) 같은 해에 동일저자에 의한 한편 이상의 문헌은 출판 순서에 따라서 a, b, c 등으로 표시한다.
(7) 저자가 4인 이상이면 처음부터 한국인은 첫 저자의 이름을 표기하고 한 칸 띄운 뒤 “외”로 쓰고, 외국인은 첫 저자의 성을 표기하고 “et al.”을 표기한다.


7. 도판 및 표의 작성 [개정 2021.6.28.]

1) 도판 및 표는 원본 그대로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선명하게 작성하고, 도식과 화살표 등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개체묶기’를 하여 문서에 포함한다.
2) 도판 및 표의 제목 및 내용을 작성한다. 제목 및 내용에 전문 용어를 원어로 직접표기할 경우 우리말 의미를 덧붙인다.
3) 도판 및 표 제목의 번호는 ʻ표 1.ʼ 혹은 ʻ도판 1.ʼ과 같이 괄호 없이 표기하고, 본문에서 설명할 경우 <표 1> 혹은 <도판 1>로 표기한다.
4) 모든 표는 반드시 가로선 사용을 기본으로 한다. 단, 라바노테이션과 같은 특정 무보나 특별한 의미를 나타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세로 선도 사용할 수 있다.
5)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 중앙에, 도판의 제목은 하단 중앙에 표기한다.
6) 도판 및 표가 인용된 자료일 경우 도판 및 표의 하단에 캡션으로 출처를 제시한다. 도판 및 표의 제목은 한국어 아래 영어 번역을 표기한다.

(1) 사진의 경우, 도판 번호, 사진 제목, 촬영자, 날짜, 장소 순서로 작성한다.
<예> 도판 1. 부채춤(Fan dance). 강미라, 2019. 7. 12. 해란 무용 연구소, 서울.
(2) 미술작품의 경우 작가, 제목, 날짜, 형식, 크기, 기관, 장소 순서로 작성한다.
<예> 이중섭. 「흰 소」(White Ox). 1954. 종이에 유채. 30 x 41.7cm. 홍익대학교박물관, 서울.
(3) 문헌에서 인용한 경우 저자, 문헌명, 날짜, 출판사, 장소 순서로 작성한다.
<예> 앤드류 에클스. 「클럽 댄서 아치 버넷」(Club Dancer Archie Burnett). 1987. 4. 27. 영국국립미술관. 런던. 『미디어 시대의 춤』 . 대전: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4) 인터넷 자료의 경우 저자, 제목, 날짜, 매체, 기관, 장소, URL.
<예> 정우리. 「민속무용 기본자세1」(The Basic Movements of Folk Dance1), 1999, 사진, 한국예술자료원, 서울, https://www.folkdance.org/photograph/poqw123/.

7) 도판 및 표에 필요한 단위는 반드시 원어로 표기한다.
8) 공인된 무보를 사용하는 논문은 저자의 책임으로 전문가의 검증을 거친 무보를 제시하여야 한다.


8. 인용문 [개정 2021.6.28.]

1) 사료(자료) 인용은 한글 번역을 원칙으로 한다. 금석문 등 번역이 불가능한 경우는 한자 등 원문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외국어 사용 논문의 인용문은 고유어를 사용할 수 있다.
2) 타인의 문장이나 견해를 인용할 때는 본문에서 아래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문장의 끝에 각주를 달아 출전을 밝힌다.

(1) 짧은 직접인용: 짧은 인용(2행 이하)은 본문 속에 포함시키고 직접 인용 부호(“ ”)로 인용문을 표시한다. 인용문이 ‘~고 말했다’처럼 계속성이 있는 말에 이어질 때는 온점을 찍지 않는다.<예> 조무한은 “무용기록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2) 긴 직접인용: 2행 이상의 인용문은 본문과 별도로 인용단락으로 표기하고, 인용부호는 생략한다. 별도의 인용단락에서 인용문을 기술할 때는 문단을 변경한 후 왼쪽, 오른쪽을 각각 ‘들여쓰기’ 한다.

<예> 조무한(2021)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한국무용사 서술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무용역사기록학회의 무용사위원회(2014)에서는 무용사학자의 역할과 책임을 기록자와 서술자로 제시하고 있다(112-115). 그러나 무용사학자 조무한은 그 시대를 체험하지 않은 이상 무용사학자는 전달자와 스토리텔러에 불과하다며 해석자의 역할을 강조한다(2005, 12-15).

(3) 간접인용: 다른 사람의 저술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원문을 요약하거나 원문의 의도를 자신의 말로 표현한다. 이 경우에는 인용 문장의 형태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글로 완전히 다시 써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제시할 경우 ‘~에 따르면’, ‘~에 의하면’, 혹은 ‘~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라고 써서 간접 인용된 부분을 명확하게 밝히고 인용의 시작이나 끝나는 지점에 각주를 달아 출처를 명기한다.
(4) 재인용은 가능한 한 지양한다. 부득이하게 재인용을 할 때는 원 저자명을 쓰고 괄호 안에 재인용된 연구의 저자명과 재인용 연구의 출판연도를 제시하여 재인용 출처를 밝혀야 한다. 이 때 참고문헌에는 재인용한 문헌만 제시한다.
<예> 퓨이에(1700)의 연구에서는 ~라고 말한다(이회칠 2020, 25에서 재인용).
(5) 인용문의 오류: 직접 인용한 원문에 오류가 있다면 그대로 인용한 다음 바로 그 뒷부분에 [원문 그대로] 또는 [sic.]로 표시한다.
(6) 웹사이트 인용: 웹사이트 콘텐츠의 인용은 본문이나 주에 ‘2014년 5월 15일의 무용역사기록학회 웹사이트에 의하면……’과 같이 쓸 수 있다.

3)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저술을 인용하는 경우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비한자어권의 순으로 저자를 나열하고 같은 문자를 사용하는 저자들은 연도순으로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한다.


9. 부호 사용 및 숫자 표기 [개정 2021.6.28.]

1) 본문 내에서 주요 부호(기호)는 다음으로 통일한다.

(1) 단행본, 학술지, 신문, 잡지: 『 』
(2) 작품, 공연: 「 」
(3) 논문: “ ”
(4) 강조: ‘ ’
(5) 춤종목명에는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2) 숫자: 아라비아 숫자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만, 억, 조 등의 단위마다 단위어를 붙이고 천 단위 이하는 숫자로 적어 구분하기 쉽게 한다. 도표에서는 단위어를 생략할 수 있고, 생략 시 자릿점(,)을 넣는다.
<예> 98억 7654만 3150[본문], 9,876,543,150[도표]
(2) 일정한 수의 범위를 나타낼 때는 대시(-)로 연결하며 단위어는 뒤 숫자에 붙인다. 단위의 범위가 다른 경우는 앞뒤에 모두 표기해야 한다.
<예> 5, 6십년 → 50-60년; 24,5쪽 → 24-25쪽; 5천-1만회
(3) 숙어나 관용어, 다른 숫자로 바뀌어 쓰이지 않는 용어의 숫자는 한글로 표기한다.
<예> 1회용 → 일회용; 단양8경 → 단양팔경; 50보100보 → 오십보백보


10. 주석 [개정 2021.6.28.]

1) 내주를 원칙으로 한다. 참고문헌에 서지사항을 밝히고 본문 중에 해당 문헌을 (저자명 연도, 쪽수)로 표기한다. 본문에 저자명이 언급된 경우에는 문장 마지막에(연도, 쪽수) 표기한다. 추가 설명이 꼭 필요한 경우 각주를 사용할 수 있다.
2) 내주 형식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1인의 저자
<예> 조무한(1994)은 ~라고 보았다(23).
<예> 무용 교육에 관하여 ~라고 제시하였다(조무한 2020, 9).
<예> 온라인 무용 공연에 있어 ~라고 제시하였다(Martel 206, 32).
(2) 2인의 저자
<예> 조무한과 이진리(2000)는 ~라고 주장하였다(4).
<예> 이들의 연구는 ~라고 보고하였다(조무한, 이진리 2020, 40).
<예> ~라고 하였다(Balam and Martle 1999, 18).
(3) 4인 이상의 저자
첫 저자의 이름 다음에 “외” (외국 저자일 경우 성 다음에 “et al.”)을 붙인 후 연도를 표기한다. 첫 저자만 표기하였는데 참고문헌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참고문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수만큼 저자를 추가하여 표기한다.
<예> 조무한 외(2020)는 ~
<예> ~라고 하였다(김하나 외 1995, 876).
<예> ~라고 하였다(Hoveid et al. 2020, 8).
(4) 여러 개의 자료
오래된 자료부터 순서대로 배열한다.
<예> 다중지능이론에 관한 연구들이 있다(조무한 2002; 김하나 2010; 이진리 2014).
(5) 동일 저자에 의한 둘 이상의 문헌의 경우 출판 연도순으로 배열하고 연도 사이에는 쉼표로 연결한다. 동일 저자의 자료가 같은 연도에 출판된 경우에는 년도 뒤에 영어 소문자 a, b, c 등을 붙여 구분한다.
<예> 호흡 이론은 김하나(2018, 2020)가 제시한 ~ 이다.
<예> 호흡 이론의 실제는 김하나(2018a, 2018b)의 연구에서 볼 수 있다.
(6) 저자가 조직이나 기관인 경우에는 조직이나 기관의 이름을 저자의 이름으로 취급하고 이름 전체를 표기한다.
<예> 학교 교육은 교원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20).
(7) 재인용은 가능한 한 지양한다. 부득이하게 재인용을 할 때는 원 저자명을 쓰고 괄호 안에 재인용된 연구의 저자명과 재인용 연구의 출판연도를 제시하여 재인용 출처를 밝혀야 한다. 이 때 참고문헌에는 재인용한 문헌만 제시하여 한다.
<예> 퓨이에(1700)의 연구에서는 ~라고 말한다(조무한 2020, 25에서 재인용).
(8) 번역서는 원저의 저자명을 적되 번역서의 출판연도를 표기한다.
(9) 면담 자료는 그 자료 제작에 관련된 사람의 성명, 자료 형태, 자료가 만들어진 날짜를 표기한다.
<예> (조무한, 개인 면담, 2020년 12월 7일)
<예> (C. A. Tomlinson, personal communication, December 7, 2020)


11. 저자 소개

저자 소개(biography)를 국문 200자, 영문 100단어 이내로 작성한다.

<예시>

  조무한은 한국대학교 미학과에서 “전통춤의 미학적 구조”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종합기록대학교 무용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사는 조선시대 민속춤의 역사이며, 주요 연구로는 “전라북도 교방청 춤기록에 관한 연구,” “조선 후기 민속춤 공연의 양태와 특성,” “조선 중기 민속 연희 공간의 특징과 의의” 등이 있다.


12. 참고문헌 [개정 2021.6.28.]

1)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인용하거나 언급한 문헌만 표기한다.
2) 참고문헌의 나열은 한글문헌, 동양어 문헌(중국어, 일본어)을 저자의 가, 나, 다 순(한자음)으로 한다. 그 다음에 서양어 문헌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한다. 번역서는 한글문헌으로 분류한다.
3) 학술지 및 정기간행물에 게재된 글은 잡지나 학술지 속의 쪽수를 표시하여야 한다.
4) 한글, 중국어, 일본어로 된 단행본, 학술지, 신문 등의 제목은 겹낫표(『 』)안에 표기하며, 로마자로 된 기타 외국어 자료의 제목은 기울임체로 표기한다. 논문제목은 큰 따옴표(“ ”), 춤 제목과 공연 제목은 홑낫표(「 」)안에 표기한다.
5) 저자가 10인 미만인 경우 저자명을 모두 열거하고, 10인 이상인 경우 7명까지 열거 후 그 이하는 외 혹은 et al. 로 표기한다.
6) 동일 저자의 경우 출판연도가 이른 순서대로 나열한다. 동일저자의 저작물이 같은 연도에 두 편 이상 출판된 것이라면 출판연도에 영문자 a, b, c 등을 부기하여 구분하고 차례대로 나열한다. 동일저자명 반복시 두 번째부터는 이름을 _____________.으로 표기한다.
7) 단행본의 연도는 문헌이 인쇄된 연도가 아니라 저작권 표시(ⓒ)된 연도를 사용한다. 발간연도가 불분명한 문헌은 (n.d.)라고 표기한다.
8) 로마자 언어로 된 문헌이 아닌 경우 로마자 표기를 병기한다.
한글은 국립국어원 로마자 표기, 일본어는 Hepburn식, 중국어는 Pinyin식 표기법을 따른다.

① 참고문헌의 저자 이름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저자의 고유 표기가 밝혀진 경우 그것을 따르고, 밝혀지지 않은 경우 국립국어원 표기를 따른다.
② 논문제목과 단행본 제목, 자료 제목은 발음 되는 대로 로마자로 표기하고, 번역된 내용을 병기한다. 번역은 해당 저자가 제시한 표기가 밝혀진 경우 그것을 따르고, 밝혀지지 않은 경우 원문의 내용을 충실히 전달할 수 있도록 투고자가 작성한다.
③ 신문사, 출판사, 학회, 학위수여 대학 및 기관명은 해당 단체가 제시하는 영어표기를 따른다. 단, 표기명이 없을시에는 국립국어원 로마자 표기를 따른다.
④ 학술지의 경우 발음되는 대로 로마자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해당 단체가 제시하는 영문명을 정체로 표기하며, 각 단어의 첫 글자는 (전치사 이외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 『무용역사기록학 Muyong-yeoksagirokhak』 [Asian Dance Journal]

9) 단행본은 출판장소와 출판사를 명기하고, 잡지는 출판장소와 출판사를 명기하지 않는다.
10) 출판예정인 저술을 제시할 경우 출판연도 대신 ‘출판예정’이라고 기재한다. 학위논문이나 미간행 저술은 발표된 소속장소와 연도를 기재한다.
11) 외국어 저자는 단독 또는 첫 번째 저자의 성(family name)의 순서로 표기하며, 가급적 성과 이름(full name)을 표기한다.
12) 번역서는 원저자명을 원어 이름 그대로 표기한다. 원서명과 원서출판 연도는 번역서명 뒤 괄호 안에 제시한다.
13) 일간지, 팸플릿, 시청각자료(DVD, 방송프로그램, 영화, 음반 등), 통계자료, 보고서, 채록문 등 단행본 형태의 자료는 별도로 <자료>라고 표시하고 저술서 다음에 기재한다. 저술과 마찬가지 형식으로 가나다순으로 배열하며, 한글, 중국어, 일어, 영어, 기타 외국어 순으로 기재한다.
14) 웹문서는 저자명(서양 문헌의 경우 성, 이름의 순), 출판연도(괄호 안에 제시), 웹자료의 제목, [검색일: OOOO. O. O.], 웹사이트 주소(URL)의 순으로 명기한다. 저자가 없을 때는 제목을 저자 위치에 표기한다. 
15) 저자가 없는 문헌은 문헌 제목을 저자 위치에 두고, 그다음에 발간연도를 밝힌다.

<참고문헌 통합예시>

국문논문의 참고문헌 작성시에는 아래의 통합예시를 따른다. 영문 논문의 경우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Chicago manual of style: CMOS)의 저자-일자 체계(author-date system)를 따른다.

1. 단행본

단행본 · 김필육 Kim, Pilyuk. 2010. 『한국무용학 Hanguk muyonghak』 [Korean Dance Studies]. 서울: 민속원 [Seoul: Minsokwon].
· MacDonald, Susan Peck. 2017.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번역서 · Jackson, Michale. 2015. 『무용의 세계 Muyong-ui segye』 [The World of Dance]. 1999. 나감동, 김수민 역 [Translated by Na Gamdong and Kim Sumin]. 서울: 예술사 [Seoul: Yesulsa].
편·저서
내 장
(chapter)
· 김필구 Kim, Pilgu. 2019. “무용철학이란 무엇인가 Muyongcheolhak-iran mueosinga” [What is the Philosophy of Dance?]. 『무용과 이론 Muyong-gwa ilon』 [Dance and Theory], 무용학연구소 편 [edited by Dance Research Institute], 351-356. 서울: 민속원 [Seoul: Minsokwon].
· Cronin, Blaise. 2002. “The Market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 Marketing Concepts for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 2nd ed, edited by Eileer de Saez, 117-133. London: Facet Publication.

2. 다수의 저자

참고문헌 ◉ 저자가 10명 미만인 경우에는 저자명을 모두 열거한다.
· 김해연, 박영미, 신일영 Kim, Haeyeon, Park Youngmi, and Shin Ilyeong. 2003. 『교육을 적용한 무용 Gyoyuk-eul jeogyonghan muyong』 [Dance with Education]. 서울: 도서출판 금홍 [Seoul: Geumhong].

· Ward, Geoffrey C., and Ken Burns. 2007. The War: An Intimate History 1941–1945. New York: Knopf.

◉ 저자가 10명 이상인 경우에는 7명의 저자명까지 열거하고 그 이하는 외 혹은 et al. 로 표기한다.
· 원창원, 양금열, 노영균, 김수영, 이은주, 조경환, 박상원 외 Won, Changwon, Yang Keumyeol, Rho Yonggyun, Kim Sooyoung, Lee Eunju, Cho Kyunghwan, Park Sangwon et al. 2002. 『한국인 일상활동의 발전 Hangugin ilsanghwaldong-ui balje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Press].

3. 학술지, 학술발표

학술지 · 이회칠 Lee, Hoechil. 2000. “움직임의 의미 Umjigim-ui uimi” [Meaning of Movement]. 『무용역사기록학 Muyong-yeoksagirokhak』 [Asian Dance Journal] 35(22): 23-24. doi: xxxxxxxxxxx.
· MacDonald, Susan Peck. 2007. “The Erasure of Language.”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58(4): 619-640. doi:xxxxxxxxxxx.
학술지 ◉ 학술대회에서만 발표된 논문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발표집으로 출간된 경우 단행본에 준하여 표기한다.

· 권혜경 Kwon, Hyekyung. 2018. “독재정권기 공공극장 건립에 나타난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Dokjaejeonggwongi gonggonggeukjang geonrip-e natanan gukgajuuijeok minjokjuui” [Nationalist Movem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aters in the Era of the Dictatorial Regime]. 제20회 무용역사기록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몸의 정치학—순응과 저항의 춤」에서 발제 [Paper presented at the 20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and History “Body Politics-Dance of Resistance, Dance of Conformity”], 청주, 8. 31 [Cheongju, August 31].
· Marr, Matthew. 2011. “Stigma, Culture, and Social Ties in the Process of Exiting Homelessness, Tokyo and Los Angel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for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London, November 21-24.

4. 학위논문

참고문헌 · 이희소 Lee, Heeso. 2001. “춘앵전 움직임의 연구사 Chunaengjeon umjigim-ui yeongusa” [A Research on the Movements of Spring Nightingale]. 한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 Hanguk University].
· Choi, Mihwa. 2008. “Contesting Imaginaires in Death Rituals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PhD diss., University of Chicago.

* 일반대학원 무용(학)과의 경우 생략 가능하나, 타 전공 및 교육·특수·정책·경영 등 그 외의 대학원은 모두 명시한다.
<예> 한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과 박사학위논문


5. 신문, 잡지

저자 이름
없는 경우
· “무용계 위기 Muyonggye wigi” [Crisis in the Dance]. 2019. 『 한국일보』 [Hanguk-ilbo], 2019. 1. 1.
저자 이름
있는 경우
· 김갑순 Kim, Gabsun. 1985. “한국춤의 맥 Hangukchumui maek” [Tradition of Korean Dance]. 『 한국일보』[Hanguk-ilbo], 1985. 9. 15.
· Mendelsohn, Daniel. 2010. “But Enough about Me.” New Yorker, January 25, 2010.
잡지 · Lepore, Jill. 2015. “The Man Who Broke the Music Business.” New Yorker, April 27, 2015.

* 온라인 자료의 경우 끝에 [검색일: OOOO. O. O.], URL. 혹은 Accessed MM DD, YYYY. URL.을 추가한다.


6. 고전
원전 자료를 인용할 경우에는 저자의 이름(저자 이름을 표시할 수 없을 때는 생략), 서명 권수, 관련 쪽수(쪽수를 표시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생략) 순으로 표기한다. 소장처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예시와 같이한다. 단, 현대 번역본을 참조한 경우는 단행본 표기에 준한다.

고전 · 정약용 Jeong, Yakyong. n.d. 『여유당전서 Yeoyudang jeonseo』 [Collected Works of Jeong Yakyong], 1집 17권. 爲李仁榮贈言 [Message to Lee Inyoung].
· 『世宗實錄 Sejong sillok』 [Annals of King Sejong]. 1454. 47권.

7. 정부문서, 협회, 기관 등 인명이 나타나지 않은 단체가 편찬한 책

정부 문서 · 국회도서관 입법자료분석실 [The Office of Legislative Analysis, National Assembly Library]. 1989. 『입법자료분석 Ippeop jaryo bunseok』 [Legislative Data Analysis] 1(4). 서울: 국회도서관 [Seoul: National Assembly Library].
· Great Britain, Parliament. 1982. Northern Ireland Act 1982. London: HMSO.

* 문서작성자가 명시된 경우, 그 이름을 맨 앞에 명시한다.
* 온라인 버전의 경우 끝에 [검색일: OOOO. O. O.], URL. 혹은 Accessed MM DD, YYYY. URL.을 추가한다.


8. 면담자료, 구술자료

저자 자신이
수행한
인터뷰
참고문헌 · 안진희 Ahn, Jinhee. 2020. 저자 면담[Interview by author]. 서울[Seoul]. 2020. 5. 15.
· Smith, John. 2019. Interview by author. Amsterdam. September 19, 2019.
저자가
수행하였으나
면담자를
익명로
할 경우
내주만 작성 · (대학교수와의 면담, 서울자료원, 1990. 5. 15)
· (interview with a high school teacher, Chicago, March 15, 2021)
기관에서
수행한
인터뷰
참고문헌 · 최영희 Choi, Younghee. 2018. 이수린 면담[Interview by Lee Soolin]. 2018. 4. 2. 구술자료 4[Oral history collection 4], 녹취[transcript], 한국예술아카이브[Korea Art Archive], 서울[Seoul].
· Smith, John. 2020. Interview by Shona McCombes. July 15, 2020. Interview 42A, transcript, Scribbr Archives, Amsterdam.
온라인 공개
구술자료
참고문헌 · 문사고 Mun, Sago. 2011. 김도술 면담[Interview by Kim Dosul], “90년대 한국무용사”[90 nyeondae hangukmuyongsa, Korean Dance History in the 90s],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자료원 구술사 홈페이지[The Collection of Arko Arts Archive, Oral History Homepage], 구술자료번호 OH_01_15_정도만_01.pdf. [검색일: 2020. 2. 2.], URL.

9. 팸플릿, 브로슈어, 보고서 등

참고문헌 · 김갑순 Kim, Gapsun. 2014. 『 김갑순의 춤공연 Kimgapsun-ui chum gongyeon 』 [Kim Gapsun’s Dance Performance].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Seoul: ARKO Arts Theater]. 2014. 7. 23.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7. Comtemporary Art Collection.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ccessed March 2, 2018. URL.

10. 도판(그림, 사진, 무보)

미술작품 · 이중섭 Lee, Jungseob. 『 흰 소 Huin so 』 [White Ox]. 1954. 종이에 유채[Oil on canvas]. 30 x 41.7cm. 홍익대학교박물관[Hongik University Museum], 서울[Seoul].
· Edgar Degas. Ballet Rehearsal on Stage. 1874. Oil on canvas. 65 × 81cm. Musée d'Orsay, Paris.
문헌에서
인용하는
이미지
· 앤드류 에클스 Eccles, Andrew. 「클럽 댄서 아치 버넷 Keulleop daenseo achi beonet」[Club Dancer Archie Burnett]. 1987. 4. 27. 영국국립미술관[The National Gallery]. 런던[London]. 『 미디어 시대의 춤』 [Dance in the Age of Media]. 대전: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Daejeon: Chungnam University Press], 2016.
· Savrasov, Alevei. The Rooks Have Arrived. March 21, 1970. Getty Museum. Los Angeles. In Russian Art: From Neoclassicism to the Avant-Garde 1800-1917: Painting – Sculpture - Architecture.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1990.
기존 사진 자료 · 정우리 Jung, Uri. 『 민속무용 기본자세1 Minsokmuyong gibonjase』 [The Basic Movements of Folk Dance1]. 1999. 한국예술자료원[Korea Arts Archive Center], 서울[Seoul].
· Cartier-Bresson, Henri. Juvisy, France. 1938.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저자 직접촬영 · 강미라 Gang Mija. 『부채춤 Buchaechum』 [Fan Dance]. 2019. 7. 12. 서울, 해란 무용 연구소[Seoul, Haelan Dance Institute].
· Bennett, Peter. Front Position. August 1, 2003. Philadelphia Dance Center.

 


11. 인터넷 자료
대개 본문 내에서 웹 콘텐츠를 언급한다.
<예> “2020년 1월 5일 현재 8.15 해방무용연구소의 홈페이지에 의하면...”
“As of May 1, 2017, Yale’s home page listed . . .”

공식적인 인용표시가 필요할 경우 다음의 형식을 따른다.

홈페이지
(저자명이
표기 안 된 경우)
· 8.15 해방무용연구소 홈페이지[8.15 haebangmuyong-yeonguso hompeiji, 8.15 Liberation Dance Research Institute Website]. n.d. “오시는 길.” [검색일: 2020. 1. 5.], URL.
· Yale University. n.d. “About Yale: Yale Facts.” Accessed May 1, 2017. URL.
저자명이 표기된 경우 · Dorling, Danny. 2013. “Are today’s second-year students the unluckiest cohort ever?” The Guardian, October 28. Accessed April 13, 2015. URL.

12. 영상자료

TV 자료 · 김윤한 Kim, Yunhan, producer. 2015. “명작 다큐: 그림으로 읽는 우리 춤의 역사 Myeongjak dakyu: geurimeuro ilneun uri chumui yeoksa" [Masterpiece Documentary: The History of Our Dance Reading through Pictures]. 2015. 10. 30. 서울: KBS[Seoul: KBS].
물리적 자료
(DVD,
Blu-ray)
· Bong Joon-ho, director. 2019. Parasite. Curzon Artificial Eye, 2020. 2 hr., 11 min. Blu-ray Disc, 1080p HD.
영화 · 이우진 Lee, Ujin, director. 2009. 「한국의 탈춤 Hangugui talchum」 [Korean Mask Dance].

 


13. 기타 강연, 세미나, 라이브 공연 등 기록물(인쇄본, 영상) 자료가 없는 행사에서 인용하는 내용은 강연자, 행사명, 날짜를 내주에 명시하고 참고문헌에는 명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