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자료실     논문검색

pISSN : 2383-5214 ㅣ eISSN : 2733-4279

무용역사기록학 , Vol.67 (2022)
pp.17~31

DOI : 10.26861/sddh.2022.67.17

십이체장고춤 음악의 형성과 구조+

목진호

(춘천문화원 학예연구사)

본 논문은 김취홍류 십이체장고춤의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 춤 음악의 형성과 구조, 춤과 음악의 상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구술조사를 병행했다. 또한 특성분해적 방법을 활용하여 음원과 동영상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세 가지 점으로 첫째, 이글은 이 춤의 음악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만들어진 서도민요였다는 점을 밝혔다. 그 시기는 십이체장고춤과 그 음악이 만날 수 있는 개연성을 높여준다. 둘째는 십이체장고춤의 장단이 중모리(♩=65), 굿거리(♩.= 40), 자진모리(♩.= 70-95)로 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춤의 전승과정에서 음악이 함께 전수되었다는 점이다. 십이체장고춤의 전수과정은 「긴난봉가」, 「청춘가」, 「한강수타령」의 가사 내용, 선율의 곡조, 장단의 속도와 더불어 긴밀한 상관성을 갖는다. 이 논문은 춤의 음악적 형성과 구조가 춤의 형성과 전승적 맥락을 강화해주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ormation and Structure of the Music of the Twelve-forms Janggo(Hourglass-drum)-dance+

Mok Jinho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dance mus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music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Kim Chi-hong's style of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Literature review and oral history research are employed as research methods,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ound sources and videos are analyzed using a characteristic decomposit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this article revealed that the music of the dance was a Seodo folk song writte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and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ies.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of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and its music interacting during the period. Second, the rhythm of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changes from Jungmori (♩=65), to Gutgeori (♩=40), and then to Jajinmori (♩=70-95) rhythm. Third, music was transmitted along with dance.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twelve-forms Janggo dance is closely related to lyrics, the melody, and the rhythm of “Ginnanbongga”, “Cheongchunga”, and “Hangang-soo taryeong”. This research is important because it indicates that the musical structure and formation of this dance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and creation of the dance itself.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