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자료실     논문검색

pISSN : 2383-5214 ㅣ eISSN : 2733-4279

무용역사기록학 , Vol.74 (2024)
pp.29~65

DOI : 10.26861/sddh.2024.74.29

한성준의 춤과 서울 지역 춤의 전개 과정 연구 : 1900년대 초부터 1940년대 초까지+

김경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 강사)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춤의 근본인 한성준의 업적과 주요한 발자취를 따라 그 시대 서울 지역의 춤의 전개 과정을 조명하는 것이다. 연구 기간은 한성준이 서울에서 안착한 1908년부터 생을 마감하는 1941년으로 정하였고, 연구방법은 국악 및 무용사와 관련된 문헌과 신문자료의 내용을 중심으로 춤의 생산·유통, 그리고 전통‧창작의 요소에 관해 논의하였다. 연구대상은 전통춤을 바탕으로 하는 한성준 계열의 춤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산‧유통의 관점에서 극장 소속의 예술단체와 민간 예술단체를 중심으 로 춤이 전개 되었다. 1902년 협률사를 포함한 서구식 극장에서 한성준의 춤과 그 계보를 잇는 서울춤은 극장 소속의 예술단체와 연구회의 특성을 지닌 여러 민간 예술단체 소속 의 예인들에 의해 공연되면서 점차 상업화, 무대화, 연예화, 극화되었다. 둘째, 전통‧창작 의 관점에서 전승‧연행되는 춤과 소멸‧재현되는 춤으로 구분된다. 한성준이 무대화‧재 구성‧창작한 약72개의 작품은 오늘날의 관점으로 보면 ‘한성준流 신전통’이다. 대부분의 작품들이 소멸되었지만, 최근 복원‧재현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n Sung-jun’s Dance and Seoul Region Dance : From Early 1900s to Early 1940s+

Kim Kyunge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dances in the area of Seoul based on achievements and significant contributions of Han Seong-jun, a master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study period spans from 1908, when Han Seong-jun settled in Seoul, to 1941, the year of his passing. Research methods involve literature related to Korean music and dance, as well as examining newspaper materials. The research focuses on Han Seong-jun’s dance lineage within traditional dance. The findings reveal that dance evolved through both theatrical and private arts organizations. In the early 1900s, Seoul-based dances, following Han Seong-jun’s legacy, were performed by artists associated with various private arts groups, gradually transitioning into commercialized, staged, and entertainment-oriented forms. From a traditional and creative perspective, dances are categorized into those transmitted and performed continuously and those that have disappeared and are now being revived. From today’s perspective, the approximately 72 works that Han Seong-jun staged, restructured, and created can be considered ‘Han Seong-jun style new tradition’. Most of the works have been destroyed, but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restore and reproduce them recently.

Download PDF list